728x90
반응형

예언 만화와 7월 대지진 예측

 

  • たつき諒의 1999년 만화 『私が見た未来』(내가 본 미래)는 “2011년 3월 대지진”을 예언한 것으로 회자되어 유명해졌고, 2021년 ‘완전판’을 통해 “진짜 대재해는 2025년 7월에 올 것”이라며 경고를 새로 추가했어요 
  • 그 내용은 2021년 7월 5일 새벽 4시 18분의 꿈으로, “일본과 필리핀 사이 해저가 폭발해 동쪽 태평양 연안에 일본 열도의 약 1/3~1/4를 삼킬 만한 초대형 쓰나미가 몰려올 것”이라는 매우 파괴적 비전입니다 .
  • 이 예언은 홍콩, 대만, 한국 등지에서 확산되어 2025년 7월 여행 예약이 줄고, 항공편이 감편되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습니다 .
  • 다만 일본 기상청 및 지진 전문가들은 **“특정 날짜와 장소, 지진 예측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”**며 경고를 '사기'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 


일본 대지진 발생 시 한국 증시 영향

A. 단기 충격: 외환·증시 동반 휘청

  • 원/엔 환율 급등: 대지진 여파로 엔화 가치 폭락 예상 → 한국 수출 대금 결제 시 환차손 증가 → 원화는 상대적으로 약세.
  • 코스피·코스닥 급락: 일본과 경제/금융 연계도가 높은 만큼, 외국인 투자자의 리스크 오프 심리가 확대되며 지수 하락 압력 상승.
  • 금리·채권가는안정보호 선호: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산 → 한국 국채 금리 하락, 외국인 자금 이동 가능.

 

B. 중장기 영향: 수출과 투자 타격

  • 일본 내 경기 둔화 → 한국기업 일본 수출 감소 및 글로벌 부품 공급망 차질 → 전자·화학·자동차 중소기업 수출 부진.
  • 원자재·전력 가격 상승: 일본 전력 문제로 한국산 전력·자재 수요 증가 → 가격 변동성 확대 및 인플레 압력 상승.

 

테마별 수혜주 & 피해주

테마수혜주 (환율방어주) 피해주 (수출 타격)

 

환율 상승 수혜 한국조선해양, 현대중공업 (원/엔 환차익) -
안전자산 수혜 AIG손해보험, 삼성생명 (보험주) -
내수·방어 업종 KT&G, GS리테일 (커피·편의점) -
수출·제조 관련 피해 삼성전자, SK하이닉스, 현대차 (일본 수요↓) -
정유/화학 피해 LG화학, 롯데케미칼 (공급망 교란) -

 

일본 산업 붕괴 시 한국 산업의 반사이익은?

일본에 초대형 지진이 실제로 발생해 산업 기반이 무너진다면, 글로벌 공급망에서 일본의 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국가와 기업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. 한국은 기술력, 생산 인프라, 글로벌 신뢰도 측면에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평가받기 때문에, 일부 산업은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.

 

1) 반도체·소재·정밀부품 수혜

  • 일본은 세계적으로 반도체 소재(불화수소, 포토레지스트 등), 정밀장비, 디스플레이 소재 강국입니다.
  • 대지진으로 공장이 멈추면 글로벌 반도체·디스플레이 기업들은 한국 공급업체로 발주 전환 가능성 ↑
수혜 업종수혜 원인대표 기업

 

반도체 소재 일본 수출 중단 → 국산화 대체 솔브레인, 동진쎄미켐
반도체 장비 일본 부품 공급 차단 → 국내 장비 사용 확대 원익IPS, 유진테크
디스플레이 샤프·JDI 생산 차질 → 한국 패널 점유율 증가 LG디스플레이
정밀 화학 일본 기능성 화학소재 대체 코스모신소재, 한솔케미칼

 

2) 자동차 산업: 일본차 부품 차질 → 한국차 수출 증가

  • 도요타, 혼다, 닛산 등의 공장 피해로 일본차 생산이 중단되면, 세계 자동차 시장의 공급 공백이 생깁니다.
  • 이때 현대차·기아차 등 한국 브랜드가 미국·유럽·동남아 시장에서 점유율을 확대할 기회를 얻게 됩니다.
수혜 가능 기업관련 근거
 
현대차·기아 일본차 공백 대체, 글로벌 생산 기지 다변화
현대모비스 부품 수요 증가
만도 전기차 부품 등 OEM 수요 상승 가능
 

📌 실제 사례: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, 미국 내 일본차 공급이 끊기면서 현대·기아의 미국 시장 점유율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


3) 이차전지 소재 및 장비

  • 일본 기업들이 장악하던 전고체 배터리, 음극재, 분리막 생산이 타격을 입을 경우 → 한국 업체 수혜
  • 특히 **글로벌 전기차 OEM(테슬라, 폭스바겐 등)**은 한국 배터리 기업 의존도 확대 가능
수혜 기업이유

 

에코프로비엠 양극재 공급 확대
포스코퓨처엠 음극재 대체 공급처로 부각
씨아이에스, 피앤이솔루션 배터리 장비 수출 증가
 


 

4) 관광·항공·물류 분야도 기회

  • 일본의 항만·항공 인프라 마비 → 한국 인천공항·부산항 등으로 우회 물류 증가
  • 일본 관광 대체지로 제주·부산·동남아 수요 쏠림
수혜 업종대표 기업
 
항만 운영 현대글로비스, KCTC
항공 우회 수요 대한항공, 제주항공
면세·여행 호텔신라, 하나투어
 

하지만 이런 수혜는 “업종 제한적, 기간 한정적”

  • 기초소재·화학·정유 등 일본산 의존도가 높은 한국 중소기업들은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.
  • 또한, 일본의 소비시장 붕괴는 한국의 대일 수출 감소로 직결됩니다.
  • 일본은 한국의 3~4위 교역 대상국으로, 중장기적으로는 리스크가 더 큽니다.

어떻게 대응할까?

  1. 현실을 직시하라
    일본 당국과 학계는 “7월 지진 예측은 과학적 근거 없다”는 입장 지속 .
  2. 심리적 불안은 시장에 실재하는 리스크
    실제로 2025년 7월까지 일본 여행 예약은 뚝 끊기고 항공편 감편도 이뤄졌어요 .
  3. 포트폴리오 점검
    • 환율 이득 및 방어주 일부 편입 고려
    • 수출·제조 중심 배팅은 조정 또는 헤지 전략 수반
    • 지진 리스크에 대비한 글로벌 과학 재난 대응주도 관심 대상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